개요
"YouTube 콘텐츠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내용을 보고 요약한 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팁을 공유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나는 최근들어 소통과 관련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듣고 있다. 피드백에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있지만 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도 많이 듣고 있다. 긍정적인 부분은 소통에 적극적이고, 피드백을 수용하려는 자세에 대한 내용이었고, 내가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한 내용은 소통과정에 있어 PR 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더해 작성한 문서가 보기 힘들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나의 장점은 더욱 더 증진시키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자 이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고, 해당 내용을 정리하였다.
요약
- 올바른 소통을 위해서는 이메일이나 메신저를 포함한 일상적인 소통에서 오해를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 메시지가 빠져 있거나 메일이 명확하지 않을 때는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고 필요한 정보를 명확히 제시해야한다.
- 또한, 언어 선택, 메일 제목, 문장 구성 등 소통 요소에 신경을 쓰는 것이 필요하다.
- 올바른 소통 습관은 문해력과 이해력을 향상시키며 발전할 수 있는 특징을 갖춘 사람들에게 있어 중요하다.
이메일 소통에서 '상대방의 입장'이 중요한지 깨달아야 한다.
- 이메일에서 처리 방법을 명시하는 것뿐 아니라, 문장력도 중요하다.
- 소통 시 상대방의 의도와 내 의도가 다르다면, 오해가 생겨진다.
- 이 때문에 약간 '오픈 질문'이라도 '제시한 제안'에 대해 '대답할 수 있게 작성해야 한다.'
- 또한, 상대방의 입장을 고려하지 않고 '내가 열심히 기획했다'는 것에 초점을 맞춘 결과, 이메일 답장을 하지 않는 등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이 내용은 이메일 뿐만아니라 문서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메시지를 미 포함하거나, 불분명한 목적, 덧붙임은 잘못된 소통의 원인이 된다.
- 오해를 줄이려면 인터뷰, 이메일, DM 등의 의도와 목적을 명확하게 표현해야 한다.
- 양측에게 꼭 필요한 정보를 빠짐없이 담은 글을 보낸다.
- 은유 표현이나 이해가 필요한 부분에 간결한 설명 덧붙여서 작성한다.
- 타깃 대상에 대한 분석과 이해도 함께 덧붙인다.
소통에서 주의할 점
- 이메일이나 메시지에서는 상대방의 타겟층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된다.
- 메시지에서 모호한 단어를 사용하는 것은 소통하는데 방해가 된다.
- 리뷰어들 중에서도 이메일 제목을 잘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예의 있는 제목을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메일은 상대방을 배려해야한다. 이메일에 중요한 기본적인 사항을 준수해야한다.
- 이메일 작성 시 상대방의 입장에서 한 번 더 고려하는 것이 좋다.
- 첨부파일 빠뜨리는 등 실수를 안 하기 위해 배움을 추구하나, 신입 교육은 필수지만 초기 초과 후엔 스스로 학습해야 한다.
- 이를 위해 이메일을 아주 깔끔하게 보내는 사람이 있어서 참고하고 명확한 제목, 첨부파일처리에 중요도를 두어 실수를 줄일 수 있다.
- 센스가 없으면 초반에 이메일을 50번 이상 주고받는 등 일이 과하게 늘어나서 자신의 이미지, 상대방의 시간 등이 훼손된다.
- 세부적으로 이메일을 편하게 하는 방법도 있어서, 이메일에서 중요한 기본적인 것들을 책으로 정리하고 공유한다.
메일에서 소통까지, 끊임없는 노력만이 대단한 발전을 이끌 수 있다.
- '일머리'가 부족하다면, 어떤 점이 부족한 지 인식하고 노력하면 발전할 수 있다.
- 문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중의성을 일으키는 맞춤법 오류, 불필요한 부사/형용사 등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하다.
- 메시지 전달하기 전에 한번 정도 확인하고 보내는 것도 좋다.
- 잘 이해하지 못한 것은 상대방이 탓하는 것이 아니라, 내 탓으로 생각하여 더 많은 노력을 기울이는 태도가 중요하다.
- 자기 발전을 위해 끊임없이 '일머리'를 수련하고, 이를 통해 문장력을 포함한 여러 능력이 발전할 수 있다.
728x90
'개인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JPA ] JPA Entity, EntityManagerFactory, EntityManager, Persistence context (0) | 2024.02.11 |
---|---|
[ JPA ] JPA 에 관하여 (1) | 2024.02.11 |
[ Study Log ] Design Thinking 에 관하여 (1) | 2023.12.03 |
[ 개인 공부 ] Optional 은 필요한 것일까? 필요하다면, Optional 의 올바른 사용방법은? (1) | 2023.11.09 |
[ 개인공부 ] 코드 설계 원칙, 데메테르의 법칙, LoD (0) | 2023.1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