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어제 저녁부터 같이 공부하는분들께서 PR에 대한 피드백을 남겨주셔서 이에 대한 질의응답(?) 및 피드백을 반영하면서 오전이 다 갔고, 오후에는 갑자기 편두통 님께서 찾아오셔서 상당히 고통스럽게 지금 시간을 보내고있다.. 진짜 편두통은 너무 힘들다.. 공부를 못하겠다.. 그래도 기록은 남겨둔다.. 기록밀리는건 편두통보다 더 무섭다..
이번 PR에서는 정말 감사하게도, 내가 아는 모든 분들께서 피드백을 남겨주셨다. 왜 이렇게 한것인지 물어봐주는게 이렇게 행복할 수가.. 이에더해 개선하면 좋을 방법을 이야기해주셔서 정말 행복하다.
PR 피드백
이번 PR에서도 개선사항보다는 내 의도를 물어보는 리뷰가 많았다. 닭의 무리에서 한마리의 학과 같은 개선 피드백은 다음과 같았다.
회사를 다닐 때, 항상 꼼꼼하게 봐주시던 명지님꼐서 내가 놓친(?)부분을 이야기해주셨다. 항상 더 나은 코드를 고민하는 명지님께 감사하다. 해당 부분을 리뷰하면서, 깨알 꿀팁을 얻을 수 있었는데, PR 피드백 간 변경 사항을 반영한 커밋번호로 공유하면 유용하다는 것이다.
(실제 사용하고 있는 꿀팁이다..!) 그래서 바로 적용해보았다.
명지님 다시한번 감사드립니다(하트)
이에 더해 이야기 지금의 생각에서 더 확장할 수 있는 이야기를 많이 해주셨다.
이야기 덕분에 더 나아가 예외코드-메시지를 통한 통일성을 고민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 부분은 지금 바로 적용하거나, 다음 도메인 Order를 개발할 때 적용해볼 생각이다.
이외에도 동연님께서, 이걸 궁금해주셔서 너무 감사했다.
나는 이를 추상클래스로 만들었다. 근데 추상메서드가 없다. 그럼 일반 클래스로 만들지 왜 이렇게 만들었냐? 하는 생각을 할 수 있다.(과거의 내가 그랬다.) 내가 추상클래스를 사용한 이유는 추상클래스의 특징 때문이다. 추상클래스는 인스턴스화 할 수 없다. 이렇게 사용하라고 만든것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만, 추상클래스의 인스턴스화가 불가능하다는 특징을 한번 사용해보고 싶었다.
이를 캐치하고 새벽 1시가 넘은 시간에 질문해주신 동연님께 무한한 사랑을 전달해본다..(하트)
그리고 무엇보다 코딩을 처음할 때부터 지금까지 진심으로 도와주는 승원이의 피드백이 너무 고마웠다. 간단하고 가벼운듯한 면봉같은 질문인데, 곱씹어보면 바늘같은 질문이다.(나만그런가..?)대부분의 승원이의 의문점들은 내게 큰 도움이 된 적이 많았다. 그리고 이번 부분도 그렇다.
지금 피드백과 관련된 내용은 아니지만, 테스트 관련된 부분이라 떠올라 생각을 글로 적어본다. 테스트와 관련한 것은 승원이의 도움이크다.(이것이 아니고도 도움 받은 것이 많다..!) 테스트 관련하여, 테스트의 중요성, 어떻게 테스트를 해야하고 왜해야하는지, 생각을 하게 만들어준게 승원이다. 승원이는 날 설득했다하지만, 나는 승원이 덕에 내가 가고자하는 목표에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덕분에 다양한 소프트웨어 관련 책을 볼 수있었고, 지금까지 계속해서 공부할 수 있는 나를 만들어준 고마운 친구이다.
이번 PR에서는 지난번 보다 더 나은 PR이 될 수 있었던 것같다.하지만 아직 많이 부족하다. 여전히 PR의 단위는 너무 크고, 내가 PR로 정리를 잘못하는듯하다. 내가 한것과 고민한 것을 잘 표현하는것이 어렵다. 그리고 아직 연습이 부족한듯하다. 하지만 계속해서 연습하고 연습하면 좋아질 것이라고 나는 확신하기에, 그리고 이것은 제일 자신있기에 ~! 아좌좌~~
Feature/product domain by KEEMSY · Pull Request #2 · KEEMSY/shoes-ordering-system
Feature/product domain 작업내용 Product 도메인 계층 구현 신발 주문 시스템의 두번째 도메인 Product 의 도메인 계층 을 구현했습니다. 전체 Product 도메인 개발 중 Domain-Core 와 Domain-Application 에 해당하는
github.com
오늘은 편두통으로 많은 공부는 하지 못했다.. 계획만하고 설계만했는데 컨디션을 잘 조절해서 내일은 adapter 구현을 시작하도록 해봐야겠다~!
'회고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oduct Adapter out 개발, 고민 (1) | 2023.07.10 |
---|---|
Product DataAccess 계층 개발 시작 (1) | 2023.07.07 |
Product Domain 완료 (0) | 2023.07.04 |
이어지는 폭염, 그리고 공부 앤 공부 (0) | 2023.07.03 |
ApplicationService(유스케이스) 구현과 고민 (7) | 2023.06.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