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문제는 보고나서 문득 DP를 사용해야겠다!와 피보나치 수열하고 똑같은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피보나치로 만들어서 풀었는데 풀이가 통과됬다. 1부터 n 까지 숫자를 각 경우의 수라고 생각하면, 결국에는 이전 경우의 수에서 더해져서 만들어지는 것이였다. (코딩문제를 직감으로 풀면 안될 것같은데 직감이 들어간다.. ) def solution(n): if n == 1: return 1 a, b = 1, 2 for i in range(2, n): a, b = b, a + b return b % 1234567 코딩테스트 연습 - 멀리 뛰기 효진이는 멀리 뛰기를 연습하고 있습니다. 효진이는 한번에 1칸, 또는 2칸을 뛸 수 있습니다. 칸이 총 4개 있을 때, 효진이는 (1칸, 1칸, 1칸, 1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