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Order 도메인 1차 개발을 완료했다. 관련하여 PR 및 Wiki 를 작성했다. 원래는 Order 까지 개발을 완료하면, 내가 목표한 1차 개발을 모두 마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하다보니 간단하게라도 Payment 도메인이 개발이 되어야만 기본적인 신발 주문 시스템이 완성이 된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다가오는 9월에는 이제 이력서를 무조건 넣을 계획이기에 Payment 도메인 개발에 집중하기 보다는 지금까지 완성된 것에 허점을 채우면서 동시에 조금씩 해볼 계획이다.
Order 도메인 1차 개발 완료
Order 도메인의 1차 개발이 끝이 났다. 이번 Order 도메인은 다른 부분에서보다 Messaging 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이번에는 기필코 카프카 통합테스트를 하고자 했었고, 이 과정에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던 것 같다.
Messaging 개발 이후, DataAccess 계층 및 Web 계층의 경우 크게 어렵지 않게 개발 및 테스트 할 수 있었고, 비교적 빠르게 마무리 할 수 있었다.
이것이 Order 도메인 개발의 끝이 아니다. 제목처럼 1차 개발 완료이기에, 아직 누락된 부분, 개선하면 좋을 부분, 추가하면 좋을 사항들이 많다. 부족한 부분을 잘 채워 봐야겠다.
Wiki 정리
신발 주문 시스템 분석 ‐ 도메인 : Order
shoes-ordering-system. Contribute to KEEMSY/shoes-ordering-system development by creating an account on GitHub.
github.com
항상 모든 작업의 마무리, 문서화를 진행했다. 이미 이전에 작성된 Context 및 Decision 을 제외한, Consequence 부분을 작성했는데, 각 계층에 대한 내용을 작성한 PR로 링크하여 간략하게 작성할 수 있었다.
처음에는 ADR에 모든 내용을 작성하려고 했었으나, 이는 문서를 읽는 사람에게 부담이 될 듯하였다. 뿐만아니라 ADR에 작성하는 내용이 대부분 PR에 작성했던 내용이기에 내용의 중복이 되기도 하여 링크로 내용을 정리했다.
이렇게 정리를하고 난뒤, 다시 내가 읽어보며 스스로 피드백을 진행해보았는데, Order 를 설계한 전체적인 흐름을 나타내는 시각자료가 있으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는 다른 도메인에서도 해당 도메인의 기능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흐름을 나타낼 수 있는 시각자료가 있으면 해당 도메인을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회고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규 이슈 등록: DB 변경하기, 한정판 상품에 대한 계정당 1회 주문제한 추가, PR: 피드백 반영을 통한 Test Mother 추가, 독서, 이력서 수정 (0) | 2023.09.01 |
---|---|
KafkaTest 추가, 책 구매: 디자인 패턴의 아름다움 (0) | 2023.08.28 |
DataAccess 마무리, Web계층 개발, 남은 일정, 인프런 강의 수강 (0) | 2023.08.26 |
DataAccess 계층 개발, JPA 에러, 디자인 패턴: Abstract Factory, Bridge 그리고 내 생각 (0) | 2023.08.25 |
Order Messaging 계층 1차 마무리, DataAccess 계층 개발 시작, 독서 (0)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