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다보면, Exception(예외)처리를 하게된다. 예외에 대한 처리로직이 없다면, 애플리케이션이 뻗어(?)버리는 대참사가 발생하기 때문에 예외처리 로직은 필수적이다. 예외처리 로직은 아마도, 애플리케이션의 가장 상위 계층에서 이뤄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웹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Web Controller(혹은 각 계층의 최상위 클래스) 가 해당 역할을 할 것 이다. 그리고 에러를 다루는 계층은 내부의 여렇 계층에서 발생하는 모든 예외를 다둘것이며, 이는 해당 계층을 이해하기 어렵게 만든다. 조금 더 엄격하게 이야기를 한다면, 해당 계층의 코드를 감히 오염 시킨다고 이야기할 수 있을 것 같다. 에러처리는 필수적이다. 하지만 이런 중첩된 try-catch 를 활용하는 방법은 피하고 싶다. ..
에러의 발생 장장 3일째 이 에러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해당 에러는 kafka 를 연결하기 위한 설정파일은 작성한 뒤, MemberApplication의 기능 추가를 위한 테스트를 진행하면서 식별했다. 그리고 원인은 kafka 설정 파일이 문제라는 것까지 원인을 파악했다. 분석 테스트를 실행하니, initializationError 가 발생했다. 에러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 ApplicationContext 로드에 실패했고, 계속해서 에러를 확인했다.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
어제 잠들기 전.. kafka 관련하여 에러를 발견했다. 그리고 문제해결에 하루종일을 쏟았다. 하지만 아직 해결하지 못했다. 속상하다. 문제는 사실 Kafka를 실행하는데 문제가 발생한 것이 아니다. 빠트린 기능을 개발하는데 있어 테스트를 진행하기위해 테스트를 실행하는데 에러가 발생했다. 먼저 해당 에러가 발생하는데 있어서 왜 kafka 부분이 문제가 되는지 몰랐다. Spring은 테스트를 실행하려면 Spring Application을 실행해야하여, 전체 중 문제가 발생하는 부분이 존재하면 해당 문제가 발생하는 듯하다. 문제가 되는 부분은 null 값을 반환하여 문제가 되는 것이었다. 어느 부분에서 null 값을 반환하는지 확인하기위해 디버그를 진행한 결과 kafkaConsumerConfigData 에서..
요즘 매일 아침 재미나게 보고 있는 책이 두권있다. 하나는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스프링부트(SpringBoot Up & Running), 이펙티브 자바(Effective Java) 이다. 처음부터 제대로 배우는 스프링부트(SpringBoot Up & Running)는 자바와 코틀린를 활용한 웹개발을위해 Spring 을 공부하는데 마음에 드는 책이 없어서 고민하다 일고리즘의 추천으로 이 책을 구매해서 보게되었다. 사실 공식문서를 통해 공부하면 좋지만, 나는 정리되고, 필요한 내용이 들어있고, 무엇보다 검증된 자료가 필요해서 책을 구매했다.(공식문서.. 영어 해석하는게 더 오래걸리는것같아서.. 어느정도 공부가 되면 공식문서로 공부할거다..ㅎ) 이펙티브 자바의 경우, 옛날에 잠깐~ 봤었는데, 코드 작성에 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