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개인공부
SQLAlchemy의 selectload와 joinload 차이는 무엇일까? SQLAlchemy를 사용하다 보면 관계된 데이터를 로드하는 방식에 따라 성능이 크게 달라지는 것을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selectload와 joinload는 자주 사용되는 두 가지 로딩 전략인데, 각각의 특징과 적절한 사용 시점을 알아보겠습니다.ORM에서의 데이터 로딩 전략SQLAlchemy에서는 크게 세 가지 로딩 전략을 제공합니다:Lazy Loading (기본값)Eager Loading (joinedload)Select Loading (selectinload)이 중에서 특히 많이 사용되는 Eager Loading과 Select Loading을 자세히 비교해보겠습니다.selectload 상세 분석selectload는 관계..

·개인공부
나는 현재 멘토링을 진행하고 있다. 멘토링을 진행하면서, 어제 받은 멘티의 질문이 과거 나 또한 고민했던 내용이었기에 해당 내용을 정리해둔다면, 다른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가 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내용을 정리해본다. 질문의 내용을 정리한다면 다음과 같다.주요 질문: AbstractBaseUser를 상속받는 AbstractUser는 따로 사용할 필요가 없는가?(AbstractBaseUser의 사용 시기는 언제인가?)추가 질문: 데이터 설계 시, 필요없는 필드를 포함해도 괜찮은가? 과거 django(이하 장고)를 사용할 때, 나 또한 이러한 고민을 했었다. 장고를 사용하면서 가장 좋았던 점은 필요한 것들은 이미 거의 대부분 모듈로 제공되고 있었고, User 또한 그러하였으며, 추후..
최근 우리회사는 새로운 인력 채용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금일 팀원들과 함께 현재 팀원들이 생각하는 각 영역에서의 필수역량을 주제로 스몰토크를 나누었다. 나는 현재 초기 스타트업(현 seed)의 멤버로 있는 만 2년차 주니어 개발자으로, 개발자의 필수역량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 그리고 이 생각은 연차가 지날수록(시간이 지날수록) 바뀔 듯하여, 생각의 로그를 남기기 위해 기록으로 남겨본다. 내가 생각하는 개발자의 필수 역량 앞서 이야기 했듯이, 나는 아직 주니어 개발자이다.(응애..) 개발자로서 감히 경험이 얼마나 된다고 감히 개발자의 역량에대해 논해?! 할 수 있다.(존중한다!) 하지만, 나는 주니어일수록 이런 생각은 필수적으로 고민해봐야한다 생각한다.나는 어떤 개발자가 되고 싶은지 고민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