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문제 링크 1261번: 알고스팟 첫째 줄에 미로의 크기를 나타내는 가로 크기 M, 세로 크기 N (1 ≤ N, M ≤ 1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미로의 상태를 나타내는 숫자 0과 1이 주어진다. 0은 빈 방을 의미하고, 1은 벽을 의미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요약 탐색 알고리즘 문제로 최소 개수를 구해야 하는 문제였기 때문에, BFS를 활용하여 문제를 풀이했다. 문제에서 조건을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조건을 따라 문제를 풀이하면 된다. 이동할 수 있는 방 == 이동할 수 있는 방향 미로 밖으로 이동할 수 없음 1 = N: # 범위를 벗어나면 아래의 코드를 실행하지 않는다. continue if dist[nx][ny] == -1: # 아직 해당 방을 방문하지 않았다면 # 만약..
문제 링크 13549번: 숨바꼭질 3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요약 탐색 알고리즘 중 하나인 BFS를 활용하여 문제를 풀이하면 쉽다. DFS를 떠올릴 수 있으나, 이 문제에서 DFS은 적절한 방법이 될 수 없다. 효율성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 최단 경로 찾기의 비효율성: 현재의 문제는 가장 빠른 시간을 찾아야한다. 하지만 DFS는 깊이 우선 탐색의 특성으로, 최적이 아닌 경로를 더 오랫동안 탐색하게 될 수 있어 적합하지 않다. 💡알고리즘 설계 BFS 알고리즘을 만..
·회고/WIL
벌써 곧 4월이다. 이젠 날짜뿐만아니라 날씨도 점점 겨울이 가고 봄이 오는 것 같다. 라고 생각했으나, 꽃샘추위에 얼어 죽을뻔한 3-4주차였다. 추운날씨에도 매일 알고리즘 문제를 풀이하고, 이력서를 수정하고, 자기소개서를 작성하고, 지원하기를 반복했다. 이래서 그런지 생각만 했을 때는 이번 한주는 특별한 이벤트가 많이 없고 정신만 없었던 것 같은데, 정리해보니 마냥 그런것 같지는 않다.(다행이다.) 이번주의 큰 이벤트: 원티드 커리어 킥오프 시작, 예비군, 기업지원, 코딩테스트 24.03.20.(수) 에는 예비군을 다녀왔는데 벌써 내가 6년차 예비군이라고한다. 예비군을 다닌지 6년차인데 생각해보면, 예비군은 하나도 변한게 없는 것 같아 아쉽기만하다. 개인적으로 정말 무의미한 대기시간.. 비효율적인 과업진..
문제 링크 2609번: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 첫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대공약수를, 둘째 줄에는 입력으로 주어진 두 수의 최소 공배수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요약 두 자연수의 최대 공약수(GCD)와 최소 공배수(LCM)을 구해야한다. 최대 공약수는 두수를 나머지 없이 나누는 가장 큰수를 의미한다. 최소 공배수는 두 수로 균등하게 나누어지는 가장 작은 수를 의미한다. 💡알고리즘 설계 GCD: a와 b의 GCD를 찾기위해 *유클리드 알고리즘을 사용한다. LCM: GCD를 찾으면, 공식(LCM = (a * b) / a와 b의 GCD)을 활용하여 계산한다. 💡코드 import java.util.* fun gcd(a: Int, b: Int): Int { return i..
·회고/WIL
벌써 3월 3주차가 지나갔다. 왜 벌서 3월의 중순을 지나 마지막을 향해가는지, 항상 주간회고를 작성할 때면, 시간에 놀라는 것 같다. 매일 아침에 일어나, 해야할 일을 정리하고, 하나씩 처리해나가고 있는데(물론 하나도 잘못할때도 많지만..) 생각보다 이게 속도가 잘 안나서 좀 많은 걱정이 됬던 근래였다. 분명 근심을 털어내고자, 지난 3.8 ~ 3.10 부산여행도 다녀왔는데 근심은 여전하다. 정확히는 지난 근심은 털어냈으나 새로운 근심들이 생겨났다. 잘 휴식했으니, 새로 생기는 근심과 걱정은 더 바쁘게 움직이면서 쳐내버려야겠다. Overview - 이력서 수정, 지원 - 코딩테스트 - CS 준비 이력서 수정, 지원 지난 3-1 ~ 3-2의 목표로 이력서를 다시 작성하는 것이 목표를 갖고 있었고, 3-2..
문제 링크 17427번: 약수의 합 2 두 자연수 A와 B가 있을 때, A = BC를 만족하는 자연수 C를 A의 약수라고 한다. 예를 들어, 2의 약수는 1, 2가 있고, 24의 약수는 1, 2, 3, 4, 6, 8, 12, 24가 있다. 자연수 A의 약수의 합은 A의 모든 약수를 더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요약 자연수 A의 약수의 합은 f(A)이다. x보다 작거나 같은 모든 자연수 y의 f(y)값을 더한 값은 g(x)이다. 자연수 N이 주어졌을 때, g(N)을 구해야한다. 1부터 N까지 각 숫자에 대하여 그 숫자의 모든 약수들의 합을 구해야 한다. n 의 상한(0 < n
KEEMSY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