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문제 링크 15988번: 1, 2, 3 더하기 3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n을 1, 2, 3의 합으로 나타내는 방법의 수를 1,000,000,009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 www.acmicpc.net 💡문제 분석 요약 n 이 1, 2, 3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는 방법의 수를 찾는 것이다. 문제 n 을 구성하려면 명시적으로 두 개 이상의 숫자가 필요하다. n 의 상한(0 < n 3에 대하여 dp[i] = dp[i-1] + dp[i-2] + dp[i-3]가 된다. (dp[1] = 1, dp[2] = 2, dp[3] = 4.) 💡코드 const val MOD = 1_000_000_009 fun main() { val T = readLine()!!.toInt() val dp = LongArray(1_000..
백준 알고리즘 문제 원본 1783번: 병든 나이트첫째 줄에 체스판의 세로 길이 N와 가로 길이 M이 주어진다. N과 M은 2,000,0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www.acmicpc.net 방문할 수 있는 칸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문제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접근 방식이 필요하다. 이번 문제해결의 핵심은 체스판의 크기와 나이트의 이동 규칙을 분석하는 것이었다.문제 이해 병든 나이트는 4가지 방법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2칸 위로, 1칸 오른쪽1칸 위로, 2칸 오른쪽1칸 아래로, 2칸 오른쪽2칸 아래로, 1칸 오른쪽이동 횟수가 4번 이상일 경우, 4가지 이동 방법을 모두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제약 아래에서 나이트가 체스판에서 방문할 수 있는 최대 칸 수를 찾아야 한다.해결 전략문제 해결을 위해 ..
·회고/WIL
이번주 월요일(2월 26일) 나는 애정의 에이블랩스에서 퇴사를 했다. 떠나기 전까지 나는 도움을 준 모든 동료분들께 따로 찾아가 감사의 인사를 전한 뒤, 에이블랩스를 떠났다. 모두에게 한번에 인사를 했더라면 이정도까지 아쉬운 마음이 들지는 않았을텐데, 감사했던 분들께 인사를 하다보니 꽤나 울컥하고, 많이 아쉬웠던 기억이 난다. 아침에 일어나 출근은 안하니 내가 느낌이 이상하다. 눈을 뜰 활력소를 잃어버린 것 같아 속상하다. 할일은 많은데 내가 아직 정신을 못차리고 있는게 아닌가 싶다. 정신을 바짝 차리고자, 노션을 활용하여 내가 해야할일들과 일정을 정리하고 하나씩 해나가고 있는데 이상하게 생각대로 잘 안된다. 그래서 요즘엔 이상하게 책을 자꾸만 찾게된다. 책을 읽다보면 내가 어떻게해야할지 힌트를 얻는 것..
·회고
인턴의 시작지난 23년 겨울, 나는 실험실 자동화 도메인을 다루는 스타트업의 채용연계형 인턴으로 입사를 했다. 그리고 24년 2월 26일, 나는 퇴사를 하게 되었다. 첫 스타트업에 대한 도전의 시간동안, 정말 많은 일들이 일어났었다. 도전적인 일, 새로운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일, 불합리한 일 등 좋고 힘든 일이 (정말) 많았다. 하지만 결과적으로는 정말 재밌었다.(무진장 힘들었지만..)비록 이번에는 아쉽게 됬지만, 또 도전해보고 싶다. 그래서 그런지 글을 작성하는 이 시점에는 아쉬움의 감정이 정말 많이든다. 지인이 보내준 유튜브 영상은, 이 기업에 대한 엄청난 관심을 갖게 만들었다. 특히, 대표의 분명한 목표와 실행력, 이것만으로도 나는 정말 이곳에서 일해보고 싶었다. 그리고 관련된 모든 자료를 찾아보..
·개인공부
DB 테이블에서는 관계에서 방향의 개념이 존재하지 않다. DB 테이블에서는 특정 테이블을 기준으로 원하는 정보를 JOIN하여 조회하기 때문이다. 즉, DB 테이블에서는 테이블 사이의 연관관계를 FK(외래 키)로 맺을 수 있고 방향 상관없이 조회가 가능하다. 하지만, 객체에서는 다른 엔터티의 정보를 갖고있지 않다면 조회(참조)가 불가능하다. 이로인해 DB 테이블에서는 없는 단방향, 양방향와 같은 방향의 개념이 존재한다. 따라서 DB 테이블에 실제 칼럼으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Entity 상태에서 다른 Entity를 참조하기 위해 방향을 설정한다. OverView - 연관관계 어노테이션 - @OneToOne - @ManyToOne - @OneToMany - @ManyToMany 연관관계 어노테이션 JPA 는 ..
·개인공부
JPA 어노테이션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아는 것은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베이스와의 상호작용을 최대한으로(아마도)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나는 이 작업을 잘하고 싶다. 그래서 이번 정리를 통해, JPA 어노테이션을 카테고리별로 나눠 정리함으로써, JPA 를 활용한 모델링을 더 잘 이해하고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객체와 테이블 매핑 어노테이션 객체(Entity)와 데이터 베이스의 Table 을 매핑 할 때에는 주로 다음과 같은 어노테이션이 사용된다. @EntityJPA 에서 테이블에 매핑할 클래스에 붙인다. 이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는 엔티티로 불린다.privaet 혹은 protected 인 기본 생성자(default constructor)를 반드시 작성해야..
KEEMSY
'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6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