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이번 정리에서는 JPA를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한 내용으로, JPA의 엔티티 매핑,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와 엔티티 매니저의 역할 및 사용법, 그리고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해와 작동 원리에 대한 설명 을 중심으로 정리 한다. 내용 구성 - JPA Entity 생성 - 엔티티 매니저 팩토리(EntityManagerFactory) - 엔티티 매니저(EntityManager) -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 JPA Entity 생성 @Entity // DB 테이블과 매핑 대상 @Table(name="user") // user 테이블과 매핑 public class User { @Id // 식별자에 대응 private String email; // email 칼럼과 매핑 private S..
개요나는 Spring 프로젝트를 만들어보면서 JPA 를 사용해 보았다.(정확히는 Spring Data JPA) 프로젝트에서 JPA 를 사용하면서, JPA 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의 부족함을 느껴 이번 JPA 공부와 정리를 통해 올바른 JPA 를 사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보고자 한다. JPA 에 관한 내용 정리는 공식 문서, 유튜브 영상, 인프런 강의, 책,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알게된 내용을 참고하여 정리해볼 계획이다.내용 구성 - JPA 란 - JPA 특징 - Hibernate 설정 JPA 란JPA는 자바 개체와 관계형 DB 간의 맵핑 처리를 위한 API이며, ORM 스펙의 일부다.JPA는 2.2 버전까지는 Java Persistence API로 불렸으나, 3.0 버전부터는 Jakarta Persisten..
개요 "YouTube 콘텐츠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법에 대한 내용을 보고 요약한 후,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기 위한 팁을 공유하기 위해 핵심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나는 최근들어 소통과 관련하여, 다양한 피드백을 듣고 있다. 피드백에는 긍정적인 피드백도 있지만 내가 부족한 부분에 대한 피드백도 많이 듣고 있다. 긍정적인 부분은 소통에 적극적이고, 피드백을 수용하려는 자세에 대한 내용이었고, 내가 개선해야 할 부분에 대한 내용은 소통과정에 있어 PR 의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이었다. 이에 더해 작성한 문서가 보기 힘들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이와 관련하여 나의 장점은 더욱 더 증진시키고,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자 이와 관련된 유튜브 영상을 찾아보게 되었고, 해당 내용을 정리하였다. 유튜브 링크: 일 잘하는 사..
벌써 2월달이 다가왔다. 뭐했다고 벌써 2월인지.. 어딘가 모르게 너무 억울한 느낌이다. 분명 1월 1일이 엇그제 같은데 말이다. 정신없이 지난 1월 돌이켜보면 약간 허무하다. 2월달에는 이런 감정이 들지 않도록 정신 더 바짝 차려야겠다. 인턴 연장 2월달 목표 인턴 연장 아마도 내가 지난 1월달이 허무다고 느끼는 가장 큰 원인이 이것이지 않을까 싶다.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야기한다면, 인턴을 연장한다는사실보다, 인턴을 연장해야겠다고 이야기하는 회사측의 이야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갑자기 왜 인턴? 나는 원래였다면, 11월27일 현 회사에 정규직으로 입사를 하기로 했다. 다만 입사 과정에서 회사 측 내부의 소통의 오류로 인턴으로 시작하고 이 인턴의 기간을 수습기간의 개념으로 하자고 했다. 급여적인 손실에..
벌써 1월의 마지막을 향해가고 있는데, 1월달의 첫 WIL 이라니.. 스스로 반성을 하게 되는 지금이다.. 지난 1~3주차 동안에도 역시나 정말 많은 일들이 있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이벤트는 내 앞으로의 처우에 대한 내용이 아닐까 싶다. 이 부분은 인턴 계약 종료 3일전에 이야기를 들어보게되었는데, 정말 개인적으로 많이 아쉽고 화가 나는 부분이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 한번 작성을 해보도록하고, 지난 3주간 큰 일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리뉴얼 및 리팩터링을 위한 테스트 작성과 CI 구축 에서 다시 처음으로 스프링부터와 JPA 를 활용한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강의 완강 및 후기 다시금 생각해보는 내가 생각하는 개발에 대하여 리뉴얼 및 리팩터링을 위한 수 많은 준비와 액션 이후 다시 처음으로..
벌써 2023년이 지나가고, 2024년이 다가왔다. 돌이켜 바라본 2023년은 살면서 가장 정신없이 지나간 한해였다. (마음에 손을 얹고) 하루하루 열심히 보냈다고 생각하는데, 떠오르는 결과물은 별로 없어 열심히 살아온 것이 아닌건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결과물을 만들어 냈다기보다는 내면의 성장(?)이 주된 23년이었던 것이 아닐까? 첫 회사 퇴사, 그리고 입사 다양한 강의와 책 공부 24년의 목표 요약 첫 회사 퇴사, 그리고 입사 첫 회사의 모습 나는 2022년 8월 1일 첫 회사에 입사했다. 비전공자로써 개발을 시작한 22년 1월 이후 드디어 첫 회사에 입사를 했다. 내가 일할 공간의 첫 모습은 초록색의 나뭇잎들이 파릇파릇하게 있던 것이 기억에 남는다. 나는 WMS(Warehous Manage..